사이 영 상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사이 영 상은 메이저 리그 최고의 투수를 기리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, 1956년 야구 커미셔너 포드 C. 프릭이 명예의 전당 투수 사이 영을 기리기 위해 처음 제정했다. 처음에는 메이저 리그 전체에서 한 명의 투수에게 수여되었으나, 1967년부터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로 분리되어 각 리그 최고의 투수에게 수여된다. 1959년에는 한 투수가 여러 번 수상할 수 있도록 규칙이 변경되었고, 1969년에는 투표 방식이 바뀌었다. 역대 최다 수상자는 로저 클레멘스로 7회 수상했으며, 샌디 쿠팩스, 그레그 매덕스, 랜디 존슨, 저스틴 벌랜더 등이 여러 차례 수상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상 -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센추리 팀
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센추리 팀은 20세기 메이저 리그 최고의 선수들을 팬 투표와 전문가 의견으로 선정한 팀으로, 놀란 라이언, 샌디 쿠팩스, 베이브 루스 등 30명이 선정되었으나, 피트 로즈 포함 여부 및 중남미 선수 배제 논란이 있었다. -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상 -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해의 신인상
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해의 신인상은 메이저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보인 신인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,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에서 각각 한 명씩 선정하여 시상하며, 수상 자격은 이전 시즌까지의 MLB 통산 성적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. - 사이 영 상 수상자 - 톰 글래빈
톰 글래빈은 메이저리그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소속으로 활동하며 뛰어난 투구와 타격 능력으로 다승왕, 실버 슬러거 상 등을 수상하고 월드 시리즈 MVP를 수상, 300승을 달성한 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좌완 투수이다. - 사이 영 상 수상자 - 그레그 매덕스
그레그 매덕스는 뛰어난 제구력과 지략적인 투구로 '정밀 기계'라 불리며 4년 연속 사이 영 상을 수상하고 18시즌 연속 골드 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355승을 거둔 전직 투수로서,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. -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- 톰 글래빈
톰 글래빈은 메이저리그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소속으로 활동하며 뛰어난 투구와 타격 능력으로 다승왕, 실버 슬러거 상 등을 수상하고 월드 시리즈 MVP를 수상, 300승을 달성한 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좌완 투수이다. -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- 커트 실링
커트 실링은 1988년부터 2009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투수로 활동하며 월드 시리즈 MVP를 수상하고 3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으며, 통산 3,000탈삼진을 달성하고 은퇴 후에는 ESPN 해설가로 활동했으나 해고되었고 사업가로도 활동했다.
사이 영 상 | |
---|---|
개요 | |
![]() | |
종목 | 야구 |
리그 |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|
수여 대상 |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에서 최고의 정규 시즌 투수 |
주관 | 미국 야구 기자 협회 |
국가 | 미국, 캐나다 |
첫 시상 | 1956년 (돈 뉴컴) |
최근 수상자 (2023년) | 게릿 콜 (AL) 블레이크 스넬 (NL) |
최다 수상자 | 로저 클레멘스 (7회) |
상세 정보 | |
설명 | 사이 영 상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각 리그, 즉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투수에게 매년 주어지는 상이다. |
선정 방식 | 미국 야구 기자 협회 (BBWAA) 소속 기자들의 투표로 결정된다. |
역사 | 1956년에 처음 제정되었으며, 1967년부터 각 리그에서 한 명씩 선정되었다. 상의 이름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가장 많은 승리 기록을 보유한 투수 사이 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. |
2. 역사
사이 영 상은 1955년에 사망한 명예의 전당 투수 사이 영을 기리기 위해 1956년 야구 커미셔너 포드 C. 프릭에 의해 처음 제정되었다.[1] 원래는 메이저 리그에서 최고의 투수 한 명에게 수여되었지만, 1967년 윌리엄 에커트가 새로운 야구 커미셔너가 된 후, 팬들의 요청에 따라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 모두에서 사이 영 상이 수여되도록 변경되었다.[1]
1959년에는 한 투수가 한 번 이상 이 상을 받을 수 없었던 규칙이 폐지되었다.[1] 1969년 사이 영 상 투표에서 동점이 발생한 후, 각 기자에게 세 명의 투수에게 투표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절차가 변경되었으며, 1위 표는 5점, 2위 표는 3점, 3위 표는 1점을 받도록 변경되었다.[1]
사이 영 상의 첫 번째 수상자는 다저스의 돈 뉴컴이었다.[1] 1957년, 워렌 스판은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좌완 투수가 되었다.[1] 1963년, 샌디 쿠팩스는 만장일치로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투수가 되었으며, 2년 후에는 최초의 다회 수상자가 되었다.[1] 1974년, 마이크 마샬은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구원 투수가 되었다.[1] 1978년, 게이로드 페리 (40세)는 이 상을 받은 최고령 투수가 되었고, 이 기록은 2004년 로저 클레멘스 (42세)에 의해 깨졌다.[1] 최연소 수상자는 드와이트 구든 (1985년 20세)이었다.[1] 2012년, R. A. 디키는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너클볼 투수가 되었다.[6]
1982년에는 스티브 칼튼은 3번 이상 사이 영 상을 수상한 최초의 투수가 되었고, 그레그 매덕스는 1994년에 3회 연속 이상을 수상한 최초의 투수가 되었다.[11]
2. 1. 제정 배경
사이 영 상은 1955년에 사망한 명예의 전당 투수 사이 영을 기리기 위해 1956년 야구 커미셔너 포드 C. 프릭에 의해 처음 제정되었다.[1] 원래는 메이저 리그에서 최고의 투수 한 명에게 수여되었지만, 1967년 윌리엄 에커트가 새로운 야구 커미셔너가 된 후, 팬들의 요청에 따라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 모두에서 사이 영 상이 수여되도록 변경되었다.[1]
1959년에는 한 투수가 한 번 이상 이 상을 받을 수 없었던 규칙이 폐지되었다.[1] 1969년 사이 영 상 투표에서 동점이 발생한 후, 각 기자에게 세 명의 투수에게 투표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절차가 변경되었으며, 1위 표는 5점, 2위 표는 3점, 3위 표는 1점을 받도록 변경되었다.[1]
사이 영 상의 첫 번째 수상자는 다저스의 돈 뉴컴이었다.[1] 1957년, 워렌 스판은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좌완 투수가 되었다.[1] 1963년, 샌디 쿠팩스는 만장일치로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투수가 되었으며, 2년 후에는 최초의 다회 수상자가 되었다.[1] 1974년, 마이크 마샬은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구원 투수가 되었다.[1] 1978년, 게이로드 페리 (40세)는 이 상을 받은 최고령 투수가 되었고, 이 기록은 2004년 로저 클레멘스 (42세)에 의해 깨졌다.[1] 최연소 수상자는 드와이트 구든 (1985년 20세)이었다.[1] 2012년, R. A. 디키는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너클볼 투수가 되었다.[6]
1982년에는 스티브 칼튼은 3번 이상 사이 영 상을 수상한 최초의 투수가 되었고, 그레그 매덕스는 1994년에 3회 연속 이상을 수상한 최초의 투수가 되었다.[11]
2. 2. 초기 (1956년 ~ 1966년)
1956년,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커미셔너 포드 프릭은 최고의 투수에게 수여하기 위해 사이 영 상을 제정했다. 이 상은 사이 영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.최초의 사이 영 상 수상자는 브루클린 다저스의 돈 뉴컴이다. 1957년에는 워런 스판이, 1958년에는 밥 터리가, 1959년에는 얼리 윈이 수상했다. 1960년에는 번 로가, 1961년에는 화이티 포드가, 1962년에는 돈 드라이스데일이 이상을 받았다.
1963년과 1965년, 1966년에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샌디 쿠팩스가 사이 영 상을 수상했다. 특히, 1966년에는 27승 9패, 평균자책점 1.73, 317 탈삼진을 기록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. 1964년 사이 영 상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의 딘 챈스가 수상했다.
연도 | 투수 | 팀 | 승-패 | 세이브 | ERA | 탈삼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956년 | 돈 뉴컴* | 브루클린 다저스 (NL) | 27–7 | 0 | 3.06 | 139 |
1957년 | 워런 스판/Warren Spahn영어 | 밀워키 브레이브스 (NL) | 21–11 | 3 | 2.69 | 111 |
1958년 | 밥 터리 | 뉴욕 양키스 (AL) | 21–7 | 1 | 2.97 | 168 |
1959년 | 얼리 윈/Early Wynn영어 | 시카고 화이트삭스 (AL) | 22–10 | 0 | 3.17 | 179 |
1960년 | 번 로 | 피츠버그 파이리츠 (NL) | 20–9 | 0 | 3.08 | 120 |
1961년 | 화이티 포드/Whitey Ford영어 | 뉴욕 양키스 (AL) | 25–4 | 0 | 3.21 | 209 |
1962년 | 돈 드라이스데일/Don Drysdale영어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(NL) | 25–9 | 1 | 2.84 | 232 |
1963년 | 샌디 쿠팩스/Sandy Koufax영어*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(NL) | 25–5 | 0 | 1.88 | 306 |
1964년 | 딘 챈스 |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(AL) | 20–9 | 4 | 1.65 | 207 |
1965년 | 샌디 쿠팩스/Sandy Koufax영어 (2)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(NL) | 26–8 | 2 | 2.04 | 382 |
1966년 | 샌디 쿠팩스/Sandy Koufax영어 (3)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(NL) | 27–9 | 0 | 1.73 | 317 |
2. 3. 양대 리그 분리 (1967년 ~ 현재)
1967년부터 사이 영 상은 메이저 리그의 각 리그에서 최고의 투수에게 수여되기 시작했다. 아메리칸 리그에서는 1967년 짐 론보그가 최초로 수상했고, 같은 해 내셔널 리그에서는 마이크 맥코믹이 수상했다.

초기에는 양 리그에서 다양한 투수들이 상을 받았지만, 특정 선수들이 여러 번 수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. 1970년대에는 짐 파머가 세 번(1973, 1975, 1976) 수상하며 두각을 나타냈고, 톰 시버 역시 세 번(1969, 1973, 1975) 수상했다.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로저 클레멘스가 여러 번(1986, 1987, 1991, 1997, 1998) 수상하며 강력한 투수로 자리매김했다. 스티브 칼튼도 네 번(1972, 1977, 1980, 1982)이나 수상했다.
2000년대 이후에도 이러한 경향은 계속되어, 페드로 마르티네스(1999, 2000), 랜디 존슨(1999-2002) 등이 여러 번 수상했다. 특히 랜디 존슨은 4년 연속(1999-2002) 수상이라는 기록을 세웠다. 최근에는 저스틴 벌랜더(2011, 2019, 2022)와 맥스 셔저(2013, 2016, 2017) 등이 여러 번 수상하며 현대 야구에서도 뛰어난 투수들이 꾸준히 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. 2023년 아메리칸 리그에서는 게릿 콜이, 내셔널 리그에서는 블레이크 스넬이 수상했다.
3. 선정 방식 및 논란
3. 1. 선정 방식
3. 2. 투표 결과 공개
3. 3. 논란
4. 수상자
지금까지 22명의 선수들이 사이영 상을 2회 이상 수상하였다. 로저 클레멘스가 첫 수상과 마지막 수상의 18년 동안 총합 7번의 수상으로 최다 수상자이며, 그레그 매덕스(1992년 ~ 1995년)와 랜디 존슨(1999년 ~ 2002년)이 4회로 최다 연속 수상자이다. 로저 클레멘스, 랜디 존슨, 페드로 마르티네스, 게일로드 페리, 로이 할러데이, 맥스 슈어저, 블레이크 스넬은 아메리카 리그와 내셔널 리그 모두에서 이 상을 수상한 유일한 투수들이다. 샌디 쿠팩스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전체에서 하나의 상만 수여되던 시기에 여러 번 수상한 유일한 투수이다. 로저 클레멘스는 두 번째 사이 영 상을 수상한 가장 어린 투수였으며, 팀 린스컴은 내셔널 리그에서 그렇게 한 가장 어린 투수이고, 클레이튼 커쇼는 그렇게 한 가장 어린 좌완 투수이다. 클레이튼 커쇼는 세 번째 사이 영 상을 수상한 가장 어린 투수이다. 클레멘스는 또한 4개의 다른 팀에서 사이 영 상을 수상한 유일한 투수이며, 다른 누구도 2개 이상의 다른 팀에서 그렇게 하지 못했다. 저스틴 벌랜더는 첫 번째(2011)와 두 번째(2019) 사이 영 상 사이의 가장 긴 간격을 가지고 있다.
투수 | 수상 횟수 | 연도 |
---|---|---|
로저 클레멘스 | 7 | 1986, 1987, 1991, 1997, 1998, 2001, 2004 |
랜디 존슨 | 5 | 1995, 1999, 2000, 2001, 2002 |
스티브 칼턴 | 4 | 1972, 1977, 1980, 1982 |
그레그 매덕스 | 4 | 1992, 1993, 1994, 1995 |
샌디 쿠팩스 | 3 | 1963, 1965, 1966 |
페드로 마르티네스 | 3 | 1997, 1999, 2000 |
짐 파머 | 3 | 1973, 1975, 1976 |
톰 시버 | 3 | 1969, 1973, 1975 |
클레이튼 커쇼 | 3 | 2011, 2013, 2014 |
맥스 슈어저 | 3 | 2013, 2016, 2017 |
저스틴 벌랜더 | 3 | 2011, 2019, 2022 |
밥 깁슨 | 2 | 1968, 1970 |
톰 글래빈 | 2 | 1991, 1998 |
로이 할러데이 | 2 | 2003, 2010 |
팀 린스컴 | 2 | 2008, 2009 |
데니 맥클레인 | 2 | 1968, 1969 |
게일로드 페리 | 2 | 1972, 1978 |
브렛 세이버하겐 | 2 | 1985, 1989 |
요한 산타나 | 2 | 2004, 2006 |
코리 클루버 | 2 | 2014, 2017 |
제이콥 디그롬 | 2 | 2018, 2019 |
블레이크 스넬/Blake Snell영어 | 2 | 2018, 2023 |
코빈 번스 | 1 | 2021 |
로비 레이 | 1 | 2021 |
샌디 알칸타라 | 1 | 2022 |
수상 횟수 | 브루클린/로스앤젤레스 다저스 | 12 | 1956, 1962, 1963, 1965, 1966, 1974, 1981, 1988, 2003, 2011, 2013, 2014 |
---|---|---|---|
밀워키/애틀랜타 브레이브스 | 8 | 1957, 1991, 1993–1996, 1998, 2024 | |
필라델피아 필리스 | 7 | 1972, 1977, 1980, 1982, 1983, 1987, 2010 | |
보스턴 레드삭스 | 1967, 1986, 1987, 1991, 1999, 2000, 2016 | ||
뉴욕 메츠 | 1969, 1973, 1975, 1985, 2012, 2018, 2019 | ||
볼티모어 오리올스 | 6 | 1969, 1973, 1975, 1976, 1979, 1980 | |
클리블랜드 인디언스 | 1972, 2007, 2008, 2014, 2017, 2020 | ||
디트로이트 타이거스 | 1968, 1969, 1984, 2011, 2013, 2024 | ||
뉴욕 양키스 | 1958, 1961, 1977, 1978, 2001, 2023 | ||
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| 5 | 1999–2002, 2006 | |
오클랜드 애슬레틱스 | 1971, 1974, 1990, 1992, 2002 | ||
시카고 컵스 | 1971, 1979, 1984, 1992, 2015 | ||
토론토 블루제이스 | 1996–1998, 2003, 2021 | ||
휴스턴 애스트로스 | 1986, 2004, 2015, 2019, 2022 | ||
샌디에이고 파드리스 | 1976, 1978, 1989, 2007, 2023 | ||
캔자스시티 로열스 | 4 | 1985, 1989, 1994, 2009 | |
미네소타 트윈스 | 1970, 1988, 2004, 2006 | ||
시카고 화이트삭스 | 3 | 1959, 1983, 1993 | |
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| 1967, 2008, 2009 | ||
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| 1968, 1970, 2005 | ||
몬트리올 엑스포스/워싱턴 내셔널스 | 1997, 2016, 2017 | ||
밀워키 브루어스 | 1981, 1982, 2021 | ||
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| 2 | 1964, 2005 | |
피츠버그 파이리츠 | 1960, 1990 | ||
시애틀 매리너스 | 1995, 2010 | ||
탬파베이 레이스 | 2012, 2018 | ||
신시내티 레즈 | 1 | 2020 | |
마이애미 말린스 | 2022 | ||
콜로라도 로키스 | 0 | 없음 | |
텍사스 레인저스 | 없음 |
사이 영 상을 만장일치로 수상한 선수는 총 28회에 걸쳐 21명이다.
이들 만장일치 수상 중 6명은 최우수 선수상도 함께 수상했다.
내셔널 리그에서는 총 15회에 걸쳐 12명의 선수가 사이 영 상을 만장일치로 수상했다.
- 샌디 쿠팩스 (1963, 1965, 1966)
- 그레그 매덕스 (1994, 1995)
- 밥 깁슨 (1968)
- 스티브 칼튼 (1972)
- 릭 서클리프 (1984)
- 드와이트 구든 (1985)
- 오렐 허샤이저 (1988)
- 랜디 존슨 (2002)
- 제이크 피비 (2007)
- 로이 할러데이 (2010)
- 클레이턴 커쇼 (2014)
- 샌디 알칸타라 (2022)
아메리칸 리그에서는 총 13회에 걸쳐 9명의 선수가 사이 영 상을 만장일치로 수상했다.
- 데니 맥레인 (1968)
- 론 가이드리 (1978)
- 로저 클레멘스 (1986, 1998)
- 페드로 마르티네스 (1999, 2000)
- 요한 산타나 (2004, 2006)
- 저스틴 벌랜더 (2011, 2022)
- 셰인 비버 (2020)
- 게릿 콜 (2023)
- 타릭 스쿠발 (2024)
4. 1. 양대 리그 통합 수상 (1956년 ~ 1966년)
1956년 브루클린 다저스의 돈 뉴컴이 27승 7패, 평균자책점 3.06을 기록하며 사이 영 상을 처음으로 수상했다. 이 상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커미셔너 포드 프릭이 야구에서 최고의 투수를 기리기 위해 제정했다. 1967년 프릭이 은퇴하고 양대 리그에서 각각 수상자를 선정하기 전까지, 이 상은 양대 리그 통합으로 한 명에게만 수여되었다.1957년에는 밀워키 브레이브스의 워런 스판이, 1958년에는 뉴욕 양키스의 밥 털리가 수상했다. 1959년에는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얼리 윈이 22승 10패, 평균자책점 3.17, 179탈삼진을 기록하며 수상했다.
1960년에는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번 로가, 1961년에는 뉴욕 양키스의 화이티 포드가 수상했다. 1962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돈 드라이스데일은 25승 9패, 평균자책점 2.84, 232탈삼진을 기록하며 상을 받았다.
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샌디 쿠팩스는 1963년, 1965년, 1966년에 세 차례 사이 영 상을 수상했다. 특히 1963년에는 25승 5패, 평균자책점 1.88, 306탈삼진을 기록하며 만장일치로 수상했다. 1964년에는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의 딘 챈스가 수상했다.
4. 2. 내셔널 리그 (1967년 ~ 현재)
1967년부터 내셔널 리그에서 사이 영 상 수상이 시작되었다. 1991년부터 1998년까지 그레그 매덕스, 톰 글래빈, 존 스몰츠는 내셔널 리그에서 총 7번의 사이 영 상을 수상했다.



연도 | 투수 | 팀 | 승-패 | 세이브 | ERA | 이닝 | 탈삼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967 | 마이크 매코믹 |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| 22–10 | 0 | 2.85 | 262⅓ | 150 |
1968 | 밥 깁슨* |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| 22–9 | 0 | 1.12 | 304⅔ | 268 |
1969 | 톰 시버* | 뉴욕 메츠 | 25–7 | 0 | 2.21 | 273⅓ | 208 |
1970 | 밥 깁슨* |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| 23–7 | 0 | 3.12 | 294 | 274 |
1971 | 퍼거슨 젠킨스* | 시카고 컵스 | 24–13 | 0 | 2.77 | 325 | 263 |
1972 | 스티브 칼턴* | 필라델피아 필리스 | 27–10 | 0 | 1.98 | 346⅓ | 310 |
1973 | 톰 시버* | 뉴욕 메츠 | 19–10 | 0 | 2.08 | 290 | 251 |
1974 | 마이크 마셜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| 15–12 | 21 | 2.42 | 208⅓ | 143 |
1975 | 톰 시버* | 뉴욕 메츠 | 22–9 | 0 | 2.38 | 280⅓ | 243 |
1976 | 랜디 존스 |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| 22–14 | 0 | 2.74 | 315⅓ | 93 |
1977 | 스티브 칼턴* | 필라델피아 필리스 | 23–10 | 0 | 2.64 | 283 | 198 |
1978 | 게일로드 페리* |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| 21–6 | 0 | 2.73 | 260⅔ | 154 |
1979 | 브루스 수터* | 시카고 컵스 | 6–6 | 37 | 2.22 | 101⅓ | 110 |
1980 | 스티브 칼턴* | 필라델피아 필리스 | 24–9 | 0 | 2.34 | 304 | 286 |
1981 | 페르난도 발렌수엘라**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| 13–7 | 0 | 2.48 | 192⅓ | 180 |
1982 | 스티브 칼턴* | 필라델피아 필리스 | 23–11 | 0 | 3.11 | 295⅔ | 286 |
1983 | 존 데니 | 필라델피아 필리스 | 19–6 | 0 | 2.37 | 242⅔ | 139 |
1984 | 릭 섯클리프 | 시카고 컵스 | 16–1 | 0 | 2.69 | 244⅔ | 155 |
1985 | 드와이트 구든 | 뉴욕 메츠 | 24–4 | 0 | 1.53 | 276⅔ | 268 |
1986 | 마이크 스콧 | 휴스턴 애스트로스 | 18–10 | 0 | 2.22 | 275⅓ | 306 |
1987 | 스티브 베드로시안 | 필라델피아 필리스 | 5–3 | 40 | 2.83 | 89 | 74 |
1988 | 오렐 허샤이저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| 23–8 | 1 | 2.26 | 267 | 178 |
1989 | 마크 데이비스 |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| 4–3 | 44 | 1.85 | 92⅔ | 92 |
1990 | 덕 드라벡 | 피츠버그 파이리츠 | 22–6 | 0 | 2.76 | 231⅓ | 131 |
1991 | 톰 글래빈* |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| 20–11 | 0 | 2.55 | 246⅔ | 192 |
1992 | 그레그 매덕스* | 시카고 컵스 | 20–11 | 0 | 2.18 | 268 | 199 |
1993 | 그레그 매덕스* |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| 20–10 | 0 | 2.36 | 267 | 197 |
1994 | 그레그 매덕스* |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| 16–6 | 0 | 1.56 | 202 | 156 |
1995 | 그레그 매덕스* |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| 19–2 | 0 | 1.63 | 209⅔ | 181 |
1996 | 존 스몰츠* |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| 24–8 | 0 | 2.94 | 253⅔ | 276 |
1997 | 페드로 마르티네스* | 몬트리올 엑스포스 | 17–8 | 0 | 1.90 | 241⅓ | 305 |
1998 | 톰 글래빈* |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| 20–6 | 0 | 2.47 | 229⅓ | 157 |
1999 | 랜디 존슨* |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| 17–9 | 0 | 2.49 | 271⅔ | 364 |
2000 | 랜디 존슨* |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| 19–7 | 0 | 2.64 | 248⅔ | 347 |
2001 | 랜디 존슨* |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| 21–6 | 0 | 2.49 | 249⅔ | 372 |
2002 | 랜디 존슨* |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| 24–5 | 0 | 2.32 | 260 | 334 |
2003 | 에릭 가니에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| 2–3 | 55 | 1.20 | 82⅓ | 137 |
2004 | 로저 클레멘스 | 휴스턴 애스트로스 | 18–4 | 0 | 2.98 | 214⅓ | 218 |
2005 | 크리스 카펜터 |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| 21–5 | 0 | 2.83 | 241⅔ | 213 |
2006 | 브랜든 웹 |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| 16–8 | 0 | 3.10 | 235 | 178 |
2007 | 제이크 피비 |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| 19–6 | 0 | 2.54 | 223⅓ | 240 |
2008 | 팀 린스컴 |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| 18–5 | 0 | 2.62 | 227 | 265 |
2009 | 팀 린스컴 |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| 15–7 | 0 | 2.48 | 225⅓ | 261 |
2010 | 로이 할러데이* | 필라델피아 필리스 | 21–10 | 0 | 2.44 | 250⅔ | 219 |
2011 | 클레이턴 커쇼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| 21–5 | 0 | 2.28 | 233⅓ | 248 |
2012 | R. A. 디키 | 뉴욕 메츠 | 20–6 | 0 | 2.73 | 233⅔ | 230 |
2013 | 클레이턴 커쇼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| 16–9 | 0 | 1.83 | 236 | 232 |
2014 | 클레이턴 커쇼* |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| 21–3 | 0 | 1.77 | 198⅓ | 239 |
2015 | 제이크 아리에타 | 시카고 컵스 | 22–6 | 0 | 1.77 | 214⅓ | 236 |
2016 | 맥스 슈어저 | 워싱턴 내셔널스 | 20–7 | 0 | 2.96 | 228⅓ | 284 |
2017 | 맥스 슈어저 | 워싱턴 내셔널스 | 16–6 | 0 | 2.51 | 220⅔ | 268 |
2018 | 제이컵 디그롬 | 뉴욕 메츠 | 10–9 | 0 | 1.70 | 217 | 269 |
2019 | 제이컵 디그롬 | 뉴욕 메츠 | 11-8 | 0 | 2.43 | 204 | 255 |
2020 | 트레버 바우어 | 신시내티 레즈 | 5-4 | 0 | 1.73 | 73 | 100 |
2021 | 코빈 번스 | 밀워키 브루어스 | 11-5 | 0 | 2.43 | 167 | 234 |
2022 | 샌디 알칸타라 | 마이애미 말린스 | 14-9 | 0 | 2.28 | 228.2 | 207 |
2023 | 블레이크 스넬 |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| 14-9 | 0 | 2.25 | 180.0 | 234 |
2024 | 크리스 세일 |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| 18–3 | 0 | 2.38 | 225 |
- 릭 섯클리프는 6월 13일 트레이드되었다. 그는 트레이드 전 아메리칸 리그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는 4승 5패 평균자책점 5.15의 성적을 기록했으나, 내셔널 리그로 옮겨간 뒤 남은 시즌 동안 시카고 컵스에서 16승 1패 평균자책점 2.69의 성적을 올렸다. 합산 성적은 20승 6패 평균자책점 3.64였다.
- 2020년 시즌의 경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단축 시즌 시행되었다.
4. 3. 아메리칸 리그 (1967년 ~ 현재)
1967년부터 아메리칸 리그는 내셔널 리그와 별도로 사이 영 상 수상자를 선정하기 시작했다. 짐 론보그가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으로 첫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을 수상했다. 1968년에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즈의 데니 맥클레인이 31승 6패, 평균자책점 1.96, 280탈삼진을 기록하며 수상했고, 1969년에는 마이크 쿠엘라와 함께 공동 수상했다.CC 사바시아는 사이 영 상을 한 번 수상했다. 페드로 마르티네즈는 사이 영 상을 세 번 수상했다. 저스틴 벌랜더는 2011년에 AL 사이 영 상, AL 트리플 크라운, AL MVP를 모두 수상하였다. 요한 산타나와 코리 클루버는 사이 영 상을 두 번 수상했다. 잭 그레인키는 사이 영 상을 한 번 수상했다.
연도 | 투수 | 팀 | 승-패 | 세이브 | 평균자책점 | 이닝 | 탈삼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967 | 짐 론보그 | 보스턴 레드삭스 | 22–9 | 0 | 3.16 | 273⅓ | 246 |
1968 | 데니 맥클레인* |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| 31–6 | 0 | 1.96 | 336 | 280 |
1969 | 마이크 쿠엘라 | 볼티모어 오리올스 | 23–11 | 0 | 2.38 | 325 | 182 |
데니 맥클레인 |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| 24–9 | 0 | 2.80 | 290⅔ | 181 | |
1970 | 짐 페리 | 미네소타 트윈스 | 24–12 | 0 | 3.04 | 278⅔ | 168 |
1971 | 비다 블루* |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| 24–8 | 0 | 1.82 | 312 | 301 |
1972 | 게일로드 페리/Gaylord Perry영어 |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| 24–16 | 1 | 1.92 | 342⅔ | 234 |
1973 | 짐 파머 | 볼티모어 오리올스 | 22–9 | 1 | 2.40 | 263⅔ | 168 |
1974 | 캣피쉬 헌터/Catfish Hunter영어 |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| 25–12 | 0 | 2.49 | 318⅓ | 143 |
1975 | 짐 파머 | 볼티모어 오리올스 | 23–11 | 1 | 2.09 | 323 | 193 |
1976 | 짐 파머 | 볼티모어 오리올스 | 22–13 | 0 | 2.51 | 315 | 159 |
1977 | 스파키 라일 | 뉴욕 양키스 | 13–5 | 26 | 2.17 | 137 | 68 |
1978 | 론 기드리/Ron Guidry영어 | 뉴욕 양키스 | 25–3 | 0 | 1.74 | 273⅔ | 248 |
1979 | 마이크 플래너건/Mike Flanagan영어 | 볼티모어 오리올스 | 23–9 | 0 | 3.08 | 265⅔ | 190 |
1980 | 스티브 스톤 | 볼티모어 오리올스 | 25–7 | 0 | 3.23 | 250⅔ | 149 |
1981 | 롤리 핑거스* | 밀워키 브루어스 | 6–3 | 28 | 1.04 | 78 | 61 |
1982 | 피트 불코비치 | 밀워키 브루어스 | 18–6 | 0 | 3.34 | 223⅔ | 105 |
1983 | 라마르 호이트 | 시카고 화이트삭스 | 24–10 | 0 | 3.66 | 260⅔ | 148 |
1984 | 윌리 헤르난데스* |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| 9–3 | 32 | 1.92 | 140⅓ | 112 |
1985 | 브렛 세이버하겐 | 캔자스시티 로열스 | 20–6 | 0 | 2.87 | 235⅓ | 158 |
1986 | 로저 클레멘스/Roger Clemens영어* | 보스턴 레드삭스 | 24–4 | 0 | 2.48 | 254 | 238 |
1987 | 로저 클레멘스/Roger Clemens영어 | 보스턴 레드삭스 | 20–9 | 0 | 2.97 | 281⅔ | 256 |
1988 | 프랭크 비올라 | 미네소타 트윈스 | 24–7 | 0 | 2.64 | 255⅓ | 193 |
1989 | 브렛 세이버하겐 | 캔자스시티 로열스 | 23–6 | 0 | 2.16 | 262⅓ | 193 |
1990 | 밥 웰치 |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| 27–6 | 0 | 2.95 | 238 | 127 |
1991 | 로저 클레멘스/Roger Clemens영어 | 보스턴 레드삭스 | 18–10 | 0 | 2.62 | 271⅓ | 241 |
1992 | 데니스 에커슬리/Dennis Eckersley영어* |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| 7–1 | 51 | 1.91 | 80 | 93 |
1993 | 잭 맥도웰 | 시카고 화이트삭스 | 22–10 | 0 | 3.37 | 256⅔ | 158 |
1994 | 데이비드 콘/David Cone영어 | 캔자스시티 로열스 | 16–5 | 0 | 2.94 | 171⅔ | 132 |
1995 | 랜디 존슨/Randy Johnson영어 | 시애틀 매리너스 | 18–2 | 0 | 2.48 | 214⅓ | 294 |
1996 | 팻 헨트겐 | 토론토 블루제이스 | 20–10 | 0 | 3.22 | 265⅔ | 177 |
1997 | 로저 클레멘스/Roger Clemens영어 | 토론토 블루제이스 | 21–7 | 0 | 2.05 | 264 | 292 |
1998 | 로저 클레멘스/Roger Clemens영어 | 토론토 블루제이스 | 20–6 | 0 | 2.65 | 234⅔ | 271 |
1999 | 페드로 마르티네스/Pedro Martínez영어 | 보스턴 레드삭스 | 23–4 | 0 | 2.07 | 213⅓ | 313 |
2000 | 페드로 마르티네스/Pedro Martínez영어 | 보스턴 레드삭스 | 18–6 | 0 | 1.74 | 284 | 284 |
2001 | 로저 클레멘스/Roger Clemens영어 | 뉴욕 양키스 | 20–3 | 0 | 3.51 | 220⅓ | 213 |
2002 | 배리 지토/Barry Zito영어 |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| 23–5 | 0 | 2.75 | 229⅓ | 182 |
2003 | 로이 할러데이/Roy Halladay영어 | 토론토 블루제이스 | 22–7 | 0 | 3.25 | 266 | 204 |
2004 | 요한 산타나/Johan Santana영어 | 미네소타 트윈스 | 20–6 | 0 | 2.61 | 228 | 265 |
2005 | 바톨로 콜론/Bartolo Colón영어 |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| 21–8 | 0 | 3.48 | 222⅔ | 157 |
2006 | 요한 산타나/Johan Santana영어 | 미네소타 트윈스 | 19–6 | 0 | 2.77 | 233⅔ | 265 |
2007 | CC 사바시아/CC Sabathia영어 | 뉴욕 양키스 | 19–7 | 0 | 3.21 | 241 | 209 |
2008 | 클리프 리/Cliff Lee영어 |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| 22–3 | 0 | 2.54 | 223⅓ | 170 |
2009 | 잭 그레인키/Zack Greinke영어 | 캔자스시티 로열스 | 16–8 | 0 | 2.16 | 229⅓ | 242 |
2010 | 펠릭스 에르난데스/Félix Hernández영어 | 시애틀 매리너스 | 13–12 | 0 | 2.27 | 249⅔ | 232 |
2011 | 저스틴 벌랜더/Justin Verlander영어* |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| 24–5 | 0 | 2.40 | 251 | 250 |
2012 | 데이비드 프라이스/David Price영어 | 탬파베이 레이스 | 20–5 | 0 | 2.56 | 211 | 205 |
2013 | 맥스 슈어저/Max Scherzer영어 |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| 21–3 | 0 | 2.90 | 214⅓ | 240 |
2014 | 코리 클루버/Corey Kluber영어 |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| 18–9 | 0 | 2.44 | 235⅔ | 269 |
2015 | 댈러스 카이클/Dallas Keuchel영어 | 휴스턴 애스트로스 | 20–8 | 0 | 2.48 | 232 | 216 |
2016 | 릭 포셀로 | 보스턴 레드삭스 | 22–4 | 0 | 3.15 | 223 | 189 |
2017 | 코리 클루버/Corey Kluber영어 |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| 18–4 | 0 | 2.25 | 203⅔ | 265 |
2018 | 블레이크 스넬/Blake Snell영어 | 탬파베이 레이스 | 21–5 | 0 | 1.89 | 180⅔ | 221 |
2019 | 저스틴 벌랜더 | 휴스턴 애스트로스 | 21-6 | 0 | 2.58 | 223 | 300 |
2020 | 셰인 비버 |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| 8-1 | 0 | 1.63 | 77⅓ | 122 |
2021 | 로비 레이 | 토론토 블루제이스 | 13-7 | 0 | 2.84 | 193⅓ | 248 |
2022 | 저스틴 벌랜더 | 휴스턴 애스트로스 | 18-4 | 0 | 1.75 | 175 | 185 |
2023 | 게릿 콜 | 뉴욕 양키스 | 15-4 | 0 | 2.63 | 209 | 222 |
참조
[1]
웹사이트
Cy Young Award on Baseball Almanac
http://www.baseball-[...]
2008-10-22
[2]
웹사이트
Cy Young Award Winners (American League)
http://encarta.msn.c[...]
2008-11-01
[3]
웹사이트
Voting FAQ – BBWAA
https://bbwaa.com/vo[...]
2024-06-17
[4]
웹사이트
AL & NL Cy Young Award Odds
https://www.sportsbe[...]
2024-06-17
[5]
뉴스
Cy Young Award voting results
http://findarticles.[...]
2008-11-01
[6]
웹사이트
R. A. Dickey wins NL Cy Young
https://www.espn.com[...]
2023-11-04
[7]
서적
Baseball's New Frontier: A History of Expansion, 1961-1998
https://books.google[...]
U of Nebraska Press
2024-01-28
[8]
웹사이트
MLB on Yahoo! Sports – News, Scores, Standings, Rumors, Fantasy Games
https://ca.sports.ya[...]
2018-03-25
[9]
뉴스
Where's the fire?
http://www.signonsan[...]
2006-09-25
[10]
뉴스
Zach Britton Is Perfectly Unorthodox Choice for Cy Young Award
https://www.nytimes.[...]
2016-10-01
[11]
웹사이트
Chicago Cubs: This is not the Arrieta we were looking for
http://cubbiescrib.c[...]
2016-09-03
[12]
문서
この年のライアンの成績は21勝16敗1セーブ、防御率2.87、奪三振は上記の通りにMLB新記録の383。
[13]
문서
一例として玉木正之著『プロ野球大辞典』(新潮文庫、1990年、ISBN 4101070121)には「沢村賞という投手に与えられるタイトルですら、アメリカのサイ・ヤング賞にならったものだ」(P.209)という誤った記述がある。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